채용 플랫폼 잡플래닛에서 데이터 분석가로 일했습니다. 지금은 데이터리안에서 마케터 겸 데이터 분석가로 일하고 있습니다.
이 글은 GA4 구성 태그가 Google 태그로 개정된 이후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.
로그인 전용
기획자가 아무리 논리적으로 이야기를 한다고 해도 구체적인 수치, 데이터가 없으면 반박되기가 너무 쉽잖아요. 이건 저만 답답하게 느끼는 건 아닌 것 같아요.
언뜻 보기에는 GA4에서 제공하는 보고서가 다양하게 많아 보이지만, 이 보고서들을 만드는 템플릿은 개요 보고서, 세부정보 보고서 2가지입니다.
요즘 데이터 분석 소식, 알고 싶지만 바쁜 일상에 챙겨보기 힘드시죠? 데이터리안 블로그와 유튜브에 업로드되는 최신 데이터 분석 소식을 한곳에서 간편하게 받아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