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시간 보고서를 사용하면 앱 또는 웹에서의 활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. 지난 30분 동안의 사용자 수, 사용자의 유입 경로, 사용자들이 조회해 본 페이지, 전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줍니다. 처음 GA를 쓰기 시작했을 때, 실시간 보고서가 참 재미있더라구요. 실시간 데이터를 대시보드로 본다는게, 플랫폼에서 제공을 해주니까 쉽게 볼 수 있는거지 시스템으로 직접 만들려면 쉬운 일은 아니거든요.
그런데 보다보니까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. ‘재미있는건 재밌는거고… 뭐하는데 쓰는거지?’ 이후로 GA를 쭉 사용하다보니 생각보다 실시간 보고서의 쓰임이 많더라구요. 이번 글에서 하나씩 소개를 해보겠습니다.

비교 기능
- 비교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.

- 비교하고 싶은 그룹을 정의합니다. 저는 애플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비교해보고 싶어서 아래 조건으로 비교 그룹을 만들었습니다.

- 비교를 적용하면 아래와 같이 모든 사용자 그룹과 비교 그룹의 차이를 볼 수 있게 화면을 분할하여 보고서를 보여줍니다.

특정 그룹에서 데이터가 잘 들어오고 있는지 확인할 때 이 기능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죠. GA4에 필터를 적용할 때에도, 필터를 최종 적용하기 전에 잘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이 기능을 이용합니다. 비교 추가 기능의 활용이 더 궁금하신 분들은 실무 GA4 필수 설정 (1) 내부 IP 차단하기글에서 ‘필터 테스트하기’를 참고해주세요.
사용자 스냅샷 보기
사용자 스냅샷 보기는 현재 접속한 임의의 사용자의 데이터를 볼 수 있는 기능입니다.
- 사용자 스냅샷 보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.

- 화살표를 클릭해서 다른 사용자를 볼 수 있습니다. 내가 원하는 사용자를 선택해서 볼 수 있는 기능은 없어요. 가끔 테스트를 하면서 제 데이터를 보고 싶을 때가 있는데, 그게 안되는게 아쉽더라구요.

- 이벤트 이름을 클릭하면, 이벤트 안에 어떤 매개변수들이 들어있는지 보여줍니다. 아래는 page_view 라는 이벤트를 클릭한 화면이에요. ga_session_id, page_location, page_title 등 page_view 라는 이벤트와 함께 전송되는 매개변수와 매개변수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이벤트, 이벤트 매개변수 확인
위에서 봤던 이벤트, 이벤트 매개변수를 확인하는 비슷한 기능을 실시간 보고서 화면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.



새로운 이벤트를 만들고, 이벤트 이름이나 설정한 매개변수가 잘 들어오고 있는지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죠. 시험삼아 새로운 이벤트를 만들어보고 싶은 분들은 GA4 스크롤 이벤트 커스텀하기 글을 참고해서 만들어보고, 실시간 대시보드에서 이벤트가 잘 들어오는지 확인해보세요. 새롭게 만든 이벤트가 실시간 대시보드 이외의 다른 대시보드에 적용되는 데까지는 짧게는 24시간 길게는 48시간정도 소요됩니다.
지금까지 실시간 보고서의 여러 기능들을 살펴봤어요. 처음에는 ‘와 신기하다', ‘사용자들이 웹사이트에 들어오네' 를 보는 정도 였겠지만 이제는 이벤트 추가, 필터 추가 등의 변경 사항이 잘 적용되었는지 확인하는 모니터링 용도로 실시간 보고서를 잘 활용하실 수 있을겁니다.